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6

2023 근로장려금 총정리 2023 근로장려금 근로장려금이란?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금액 미만 근로자 가구를 대상으로 기준에 맞는 장려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근로를 하면서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구에 복지를 제공하는 제공하는 제도 중의 하나로, 소득이 없는 사람은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지원금액 구분 현행 개정 단독 가구 150만 원 160만 원 홑벌이 가구 260만 원 285만 원 맞벌이 가구 300만 원 330만 원 단독가구 : 주민등록상 동거 및 부양하는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 홑벌이가구 : 배우자, 주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배우자 총 금여액이 300만 원 미만) 맞벌이가구 : 신청인과 배우자 각자의 총 급여액이 300만 원 이상인 가구 자격요건 구분 현행 개정 단독가구 2,000만 원 미만 2,200.. 2023. 2. 22.
개인연금, 퇴직연금 세액공제 개정 개인연금, 퇴직연금 세액공제 개정 세액 공제 되는 연금을 알고 계신가요? 세액 공제되는 연금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1. 개인연금 (보험, 신탁, 펀드) 2. 퇴직연금 (IRP) 퇴직연금은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고 예상이 되고, 개인연금 (연금저축)은 세 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1. 연금저축보험 (보험사) 2. 연금저축신탁 (은행) 3. 연금저축펀드 (증권사) 세액공제란 무엇인가? 과세소득 금액에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세액에서 세법에 규정하는 일적금액을 공제, 납부할 세액을 산정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2023년부터 변경되는 세액공제 개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현행 개정 50세 미만 50세 이상 나이구분없음 연금저축 년 400만원 년 600만원 년 600만원 IRP 연금저축포함 최대 700만원.. 2023. 2. 21.
2023 인상되는 공공요금 무엇이 있을까 ? 2023 인상되는 공공요금 2022년 겨울, 난방비 걱정 많으셨습니다. 저희도 마찬가지로 갑자기 많이 나온 고지서 요금에 눈이 휘둥그레졌는데요. 그래서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오르거나 오를 예정인 공공요금 무엇이 있을까요? 도시가스 제일 먼저 언급할 수밖에 없는 도시가스 인상입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작년까지 만해도 네 번이나 가스요금이 올랐습니다. 겨울철 난방을 가동하면서 국민들의 부담이 커졌습니다. 정부는 물가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지만 가스요금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요금 한국전력은 현재 누적된 적자가 30조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요금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1월부터 사용한 전기요금은 2월 고지서에 반영되어 나올 예정입니다. 상하수도 .. 2023. 2. 13.
2023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알아보기, 세제, 금융, 청약 2023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세제, 금융, 청약 세제 세금을 매기고 거두어들이는 것에 관한 제도 1월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현행 개선 5년 10년 6월 2주택자 종합부동산세 중과 배제 (조정대상지역 내에 주택 2채이상 보유자) 현행 개선 중과세율 1.2% ~ 6.0% 일반세율 0.5% ~ 2.7% 로 완화 종합부동산세 세부담 상한율 일원화 현행 개선 2주택 이상일 때 세부담 상한율 300% 일괄 150% 종합부동산세 기본공제금액 상향 현행 개선 기본공제금액 6억원 9억원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11억원 12억원 금융 1월 ■ 청년 맞춤형 전세특례보증한도 확대 만 34세이상 연소득 7천만원 이하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1억원에서 2억원으로 확대됩니다. ■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통합한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2023. 2. 2.